분류 전체보기166 콘텐츠의 미래 7 스포츠 중계권, 케이블 가입비, 슈퍼스타의 수입을 직접적인 인기도와 비례해서 설명하려 한다면 이런 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히트 제품이 중요한 이유는 직접적인 수익도 수익이지만 그에 따르는 여러 간접적인 이익이 엄청나기 때문이다. 히트 제품이 말도 안 되는 듯 보이는 파격적인 액수를 벌어들일 수 있는 이유는 히트 제품 자체가 인기 있는 자산일 뿐만 아니라, 히트 제품이 다른 제품들에 걸쳐 창출해내는 스필오버 효과와 히트 제품의 가치를 높여주는 보완재 때문이다. 히트 제품의 과잉 투자는 이유가 있고 매우 효과 적이다. "가장 잘하는 일에 집중하라"는 격언을 요즘은 어디서나 들을 수 있다. 하지만 더 자주 성공을 거두는 쪽은 제품에 집중했을 때가 아니라 제품 연결 관계에 집중했을 때다. 프랜차이즈, .. 2020. 5. 24. 콘텐츠의 미래 6 대체재는 보완재와 정반대다. 가격이 더 낮거나 더욱 널리 사용되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당신의 핵심 제품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키면 그 제품이 대체재다. 경쟁이란 측면에서 보면 대수롭지 않게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정의만 보고는 대체재의 실체를 알 수 없다는 데 은밀한 함정이 있다. 리틀 야구의 경쟁상대 : 축구, 농구, 비디오 게임 블랙 앤 테 거(전동공구) : 보슈, 그래프츠맨, 마키다, 잡일꾼, 이케아, 렌탈가구, 넥타이 보완재뿐 아니라 대체재도 넓게 생각해야 한다. 단순히 제품(켄텐츠)으로 한정하면 함정에 빠지게 된다. 2020. 5. 23. 콘텐츠의 미래 5 IMG의 성공 신화를 이해할 수 있는 열쇠는 한 가지 사업 원칙에 있다. 그것은 제품들 사이의 연결 관계를 관리하는 것이다. 이 원칙은 IMG 뿐만 아니라 오늘날 거의 모든 비즈니스에서도 중요하다. 그런데 이것은 수많은 사업가들이 주장하는 묶음 해제, 제품 중심, 핵심 역량이라는 원칙에 반하는 것이다. 보완재란, 사용자가 두 가지 제품을 함께 사용하는 데서 얻는 가치가 두 제품을 따로따로 사용할 때 얻는 각각의 가치를 더한 것보다 크면 두 제품은 보완재다. 예) 케첩과 핫도그 애플의 보완재 전략 하나의 제품(아이튠즈)을 사용하기 쉽게, 싸게, 널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서 그 제품의 보완재(아이팟)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도록 만들었던 것이다. 보완재의 경제학 1. 비전을 좁히지 말고 넓혀라 2. 낮은 가.. 2020. 5. 20. 콘텐츠의 미래 4 위키피아의 성공요인 1. 어떤 콘텐츠를 필요로 하는지 대중이 확실히 알아야 한다. 2. 쉽게 만들어야 한다. 3. 유용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구분해내는 메커니즘이 있어야 한다. 올바른 기여자를 끌어들일 수 있는 확실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기여자들이 연결하고 공유하게끔 유도해야 한다. 긍정적인 의견이 오고 가는 연결 관계를 만들어내야만 한다. 월마트의 고정비 관리. 1. 지방에 매장 오픈 : 경쟁이 덜해 고정비를 고객 전체를 대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2. 매장들을 가가운 거리에 모음 : 창고 비용을 줄임 3. 식료품 사업에 진입: 이윤은 거의 없지만 다른 고객들은 식료품 사러 자주오며 오게 되면 다른 상품도 구입함 4. 광고를 덜하기로 결정: 상품 재고가 많아야 할인 행사를 하게 되고 그에 따른.. 2020. 5. 19.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