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람들은 불확실성에 직면할 때면 타인을 관찰해 모방한다. 심리학자들은 이를 '사회적 증거'라고 부른다.
바텐더의 팁 항아리, 신장 이식 신청자의 선택, 줄 서있는 식당 등.
인간은 자신이 관찰할 수 있는 행동만 모방할 수 있다.
대학생들의 폭음 문제, 셔츠와 양말의 차이, '아이폰에서 보냄' 메시지, 눈에 잘 띄고 커지는 로고 등
행동적 잔여란 어떤 행동에서 비롯되는 물리적 흔적 또는 그것을 연상시키는 물품을 말한다.
노란색 손목 밴드, 트로피, 유니폼, 책장의 책 종류, 상품로고가 있는 튼튼한 쇼핑백 등,
특정 행동을 억제하려면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가시화할 것이 아니라 반대로 가시화된 부분을 감추어야 한다. 억제하려는 집단이나 그 행동을 대중의 시야에서 멀어지게 해야 한다.
안좋은 예 : "이곳을 다녀간 수많은 방문객들이 규화목을 몰래 가져갔습니다. 그로 인해 석화림의 보존 상태가 악화되고 있습니다."
좋은 예 : "규화목을 몰래 가져가지 마세요. 자연 그대로 석화림을 보존하기 위해 함께 노력합시다. "
눈에 드러나지 않는 것은 대중적 가시성을 부여해야 한다. 눈에 잘 띄게 할수록 인기를 얻고 성공할 수 있다.
계기 측면에서는 한 개인이 해당 아이템을 생각할 수 있게 끔 제품이나 아이디어를 주변 곳곳에 뿌린다면, 대중성의 경우 어떤 한 사람이 사용하는 제품이나 아이템을 다른 사람도 볼 수 있게끔 해야 한다는 의미로 여겨진다.
반응형